티스토리 뷰

반응형

  AI 관련주인 엔비디아 이후에 10배 이상 오를 종목은 무엇으로 유추해볼 수 있을까요? AI의 시대는 이미 도래했습니다. 이미 AI의 GPU를 생산하는 엔비디아는 전세계의 주식 시장 시총 1위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앞으로 10배 더 오를 수도 있지만, 이미 과열된 주가인 것은 맞습니다. 그래서 그 다음주자를 찾아야 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전력' 테마를 꼽고 있습니다. 

 

 

 

 

AI의 다음 주자는 ESS?

 

최근에 일론머스크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2025년에 인공지능 AI를 위한 충분한 전기를 확보하지 못할 것이다." 국내에 삼성 SDI,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있지만 이와 관련된 종목들이 아직 3배, 10배 이상이 오르진 못했습니다. 작년에 에코프로 열풍이 한참 불긴 했지만 올해는 과열과 함께 잠시 주춤한 것이 사실입니다. 

 

ESS

 

ESS 전기 저장 장치 관련주가 2025년이 오기전에 오를 것입니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섹터의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ESS 전기 저장 장치 관련주는 무엇이 있을까? 

 

☑️ LG에너지솔루션 (ESS대장주)

동사는 LG화학에서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EV, ESS, IT기기,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관련 제품의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LG 에너지 솔루션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신재생 ESS전시회에 참가해서 애리조나에 16WH 구묘의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세워 현지 공급 체계를 갖출 계획입니다. ESS 대장주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공장은 착공을 시작했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총 3조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니켈, 코발트, 망간배털 기반 주택용 ESS제품과 인버터 등 ESS 시스템 구성품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한 제품을 생산하므로 ESS 관련주로 부각됩니다. 시총이 가장 높고 상징적인 종목이어서 ESS 대장주입니다. 

 

☑️ 삼성 SDI 

 

동사는 소형전지와 중/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등을 생산/ 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삼성 SDI는 ESS용 대용량 배터리인 SBB를 공개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SS사업을 영위하고 있고 광범위한 용량과 규격의 2차전지 시스템을 생산 및 판매중이므로 ESS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삼성SDI

 

 

☑️ SK 이노베이션

 

 SK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등을 영위할 분할 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분할함으로써 설립됐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대기업입니다.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하고 판매하고 있어서 ESS테마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

 

 

ESS 미래 전망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것이 ESS라면 대용량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은 원자력입니다. 원전 하나를 건설하는데 최소 5년이 걸리고 부지선정부터 엄청난 저항을 받습니다. 전세계적으로 AI와 ESG를 화두로 친환경의 아젠다가 지속되면 전력소모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사람들의 인식으로 원전을 생각하면 원전사고 등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소형원전은 그 위험성이 기존의 대형원전보다 위험도가 낮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처리시설 또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나중에 대중들에게 안전하게 인식되기 시작할 때는 지금의 엔비디아처럼 급격하게 늘어난 후일 것입니다. 저평가일 때 미리 매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SS 뜻

 

심야시간의 잉여전력이나 또는 태양광 설비의 생산 전력을 저장해놨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공급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발전 전력 저장 후에 필요한 시점에 전기를 출력하여 에너지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로 대두된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등의 신재생에너지는 기후 요건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에너지 생산에 변동성이 높습니다.

 

 

전력 관련주

 

반응형